이전 포스팅에서 자동화 기계장치의 액추어이터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고 설명드렸습니다. 바로 모터와 실린더인데요. 실린더는 다시 유압 및 공압 실린더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 공압 실린더는 깨끗한 압축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오염,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반도체, 제약, 식품과 같은 산업분야에 두루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오늘은 공압 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o.wikipedia.org/wiki/%EC%8B%A4%EB%A6%B0%EB%8D%94 실린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공압실린더의 이미..

지멘스는 1979년 독일 하노버에서 선보인 SIMATIC S5 PLC를 시작으로 S7-300, S7-400을 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신으로 S7-1200/S7-1500 순서로 신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PLC를 배워야 하는 이유를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지멘스(SIEMENS) PLC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난 글을 못 읽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이전 포스팅 참고 2021/02/23 - [분류 전체보기] - PLC의 개요 그리고 배워야하는 이유 PLC의 개요 그리고 배워야하는 이유 PLC 공부할 가치가 있을까? 코로나 이후로 디지털의 전환 속도가 가속도를 받고 있습니다. 독일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일찌감치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인더스트리 4.0'을 내..

PLC 공부할 가치가 있을까? 코로나 이후로 디지털의 전환 속도가 가속도를 받고 있습니다. 독일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일찌감치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인더스트리 4.0'을 내세워 스마트 팩토리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앞으로 4차 산업혁명에서 PLC를 사용할 수 있는 관련 엔지니어의 수요는 꾸준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그러므로 PLC를 공부해두어야 할 이유가 우리에게 생긴 것이겠죠? 아래 일화를 볼까요? 사례 1 "베를린과 뮌헨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전기전자기업 SIEMENS(지멘스)는 공장설비에 1천여 개의 사물인터넷 센서를 달았다. 덕분에 불량품이 생기면 생산라인이 즉각 멈춘다. 매일 5천만 건이 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제조공정에 작업 지시를 내린다. 100만..